본문 바로가기
king-info

연봉별 소득세 얼마나 낼까

by 베리의스토리잉 2025. 4. 13.

연봉이 같아도 실제 내는 세금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소득세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봉에 따라 얼마나 소득세가 부과되는지 연봉별 소득세 금액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소득세란 무엇인가요?

근로소득에 따라 달라지는 세금

소득세는 근로자가 버는 돈에 대해 국가가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단순히 연봉에 곱하는 게 아니라 각종 공제 항목을 적용한 뒤 남은 금액에 대해 세율을 적용합니다. 그래서 소득세 계산은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2024년 소득세율표

과세표준 구간 세율 누진공제액
~1,200만 원 6% 0원
1,200만~4,600만 원 15% 108만 원
4,600만~8,800만 원 24% 522만 원
8,800만~1억5천만 원 35% 1,490만 원
1억5천만~3억 원 38% 1,940만 원
3억~5억 원 40% 2,540만 원
5억~10억 원 42% 3,540만 원
10억 원 초과 45% 6,090만 원

연봉별 예상 소득세

실제 납부할 세금은 얼마나?
연봉 예상 소득세 예상 지방소득세 총 세금
3,000만 원 약 130만 원 약 13만 원 약 143만 원
5,000만 원 약 430만 원 약 43만 원 약 473만 원
7,000만 원 약 780만 원 약 78만 원 약 858만 원
1억 원 약 1,800만 원 약 180만 원 약 1,980만 원

과세표준이란?

공제를 뺀 금액이 기준!

소득세는 연봉 전체가 아니라 각종 공제를 적용한 후 남은 금액과세표준에 따라 계산됩니다.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등을 빼고 남은 금액에 세율이 적용됩니다. 그래서 연봉이 같아도 공제 항목에 따라 세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누진세 방식 이해하기

세율은 전액에 적용되는 게 아니다!

소득세는 구간별 누진세 구조입니다. 즉, 1,200만 원까지는 6%, 그 이후부터는 차등적으로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연봉 전체에 15%나 24%를 곱하는 게 아닙니다. 구간마다 나누어 계산해서 누진공제액을 빼주는 방식입니다.

지방소득세 포함해야 정확하다

소득세만 보면 안 된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세가 500만 원이라면 지방소득세는 50만 원입니다. 총 납부세액은 소득세 + 지방소득세이므로 계산 시 이 부분을 꼭 고려해야 실제 부담을 알 수 있습니다.

연봉별 실수령액에 미치는 영향

세금이 많을수록 실수령액은 줄어든다

세금이 높아질수록 월 실수령액은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5,000만 원이라도 세금과 4대 보험 등을 제하면 실제로 받는 금액은 연 약 4,200만 원, 월 약 350만 원 수준입니다. 그래서 세후 기준으로 급여를 계획하는 게 현실적입니다.

절세 가능한 항목 정리

연말정산 때 꼭 챙기자!

세금을 줄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액, 연금저축, IRP, 교육비, 의료비 등은 소득공제 또는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입니다. 이 항목들을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정리

소득세는 단순한 고정 비율 세금이 아니라 누진 구조로 계산되는 세금입니다. 연봉이 오를수록 세율 구간도 함께 올라가며, 각종 공제 후의 과세표준에 따라 세금이 결정됩니다. 연봉이 같아도 공제 항목에 따라 실제 납부 세액은 다르므로 정확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방소득세까지 합산해 세후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생활비와 저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연봉별 소득세 FAQ

Q. 소득세는 연봉 전체에 적용되나요?

A. 아닙니다. 기본공제와 근로소득공제 등 공제를 제외한 과세표준에만 적용됩니다.

Q. 연봉이 높아지면 소득세는 얼마나 늘어나나요?

A.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로 인해 연봉이 높아질수록 비율도 커지며, 실제 세금은 급격히 증가합니다.

Q. 소득세 줄이는 방법이 있나요?

A. 네, 연말정산 시 연금저축,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공제 항목을 잘 활용하면 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