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이 오르면 기분은 좋지만, 세금도 같이 늘어나는 걸 아시나요? 우리나라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라서 수입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봉별 세율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 세전 연봉에서 공제를 먼저! |
소득세는 연봉 전체가 아니라, 공제 후 남은 과세표준에 대해 계산됩니다. 기본공제, 근로소득공제 등을 뺀 뒤 남은 금액에 누진세율을 적용하죠. 그래서 연봉이 같아도 공제 항목에 따라 세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4 기준 소득세율표
과세표준 구간 | 세율 | 누진공제액 |
---|---|---|
1,200만 원 이하 | 6% | 없음 |
1,200만 ~ 4,600만 원 | 15% | 108만 원 |
4,600만 ~ 8,800만 원 | 24% | 522만 원 |
8,800만 ~ 1억5천만 원 | 35% | 1,490만 원 |
1억5천만 ~ 3억 원 | 38% | 1,940만 원 |
3억 ~ 5억 원 | 40% | 2,540만 원 |
5억 ~ 10억 원 | 42% | 3,540만 원 |
10억 원 초과 | 45% | 6,090만 원 |
연봉별 예상 세율 비교
✅ 연봉 오르면 세율도 오른다! |
연봉 | 적용 세율 (예상) | 소득세+지방소득세 (예상) |
---|---|---|
3,000만 원 | 6~8% | 약 150만 원 |
5,000만 원 | 12~14% | 약 500만 원 |
7,000만 원 | 15~18% | 약 850만 원 |
1억 원 | 22~25% | 약 2,000만 원 |
지방소득세도 포함됩니다
✅ 소득세의 10% 추가 부과! |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를 추가로 납부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세가 300만 원이라면, 지방소득세는 30만 원이 더해져 총 330만 원을 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율은 누진 구조입니다
✅ 전 구간에 다 같은 세율이 아니다! |
누진세는 일정 구간마다 다른 세율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5,000만 원이면 1,200만 원까지는 6%, 그다음은 15%, 또 그 다음은 24%가 적용됩니다. 전체가 24%가 아닌 구간별 적용인 점이 포인트입니다.
절세 방법도 있다
✅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적극 활용! |
연금저축, IRP, 신용카드, 기부금 등으로 세액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때 환급을 받는 것도 이 공제 항목 덕분입니다. 적극적으로 절세 항목을 챙기면 세율 구간을 낮출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정리
연봉별로 적용되는 세율은 누진 구조이기 때문에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 부담도 커지게 됩니다. 2024년 기준 최고 세율은 45%이며, 대부분의 직장인은 15~24% 구간에 속해 있습니다. 세금이 부담된다면 공제 항목을 잘 활용해서 효율적인 세후 수입 관리를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연봉별 세율 FAQ
Q. 연봉이 5,000만 원이면 세율은 몇 %인가요?
A. 과세표준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12~14%의 세금이 적용됩니다.
Q. 전체 연봉에 다 같은 세율이 적용되나요?
A. 아니요. 누진세 구조라서 구간별로 다른 세율이 적용됩니다.
Q. 지방소득세는 어떤 건가요?
A.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를 별도로 더 내는 세금입니다.
'king-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교 교수 연봉 얼마나 될까 알아보기 (0) | 2025.04.13 |
---|---|
연봉별 소득세 얼마나 낼까 (1) | 2025.04.13 |
연봉별 자동차 계급도 어떻게 될까 (3) | 2025.04.12 |
연봉 대비 세금 얼마나 내야할까 (1) | 2025.04.11 |
고등학교 교사 연봉 얼마나 줄까 (0) | 2025.04.11 |